정신건강정보

우울증

원인

우울증의 원인으로는 많은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되어있다. 심리사회적 스트레스뿐만이 아니라 유전,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, 내분비 이상 등 다양한 이유들이 우울증에 원인이 된다고 보고되고 있다.

증상
치료
* 출처 ; 의료행동과학/ 대한신경정신의학회, 신경정신의학 / 대한신경정신의학회
  • [입원치료]

    증상이 심하거나 자살위험성이 높은 경우에는
    입원치료를 하는 것이 권장된다. 신체질환이 동반되어
    있거나 약물조절이 까다로운 경우, 주변에 돌보아 줄
    사람이 없는 경우에도 입원치료가 도움이 된다.

  • [약물치료]

    가장 보편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이다. 최근의 개발된
    약들은 부작용이 적고 효과도 좋다. 항우울제는
    투여 후 2~3주 후에 효과를 보이기 시작하기 때문에
    며칠만 먹고 중단해서는 안 되며 증상이 호전된
    뒤에도 최소한 6개월은 약물 치료가 계속 되어야지
    재발도 적다.

  • [심리사회적 치료]

    정신치료, 인지치료만으로 우울증의 치료효과를
    보기는 어렵기 때문에 반드시 약물치료와 함께
    병행할 것을 권한다.

조현병

원인

조현병은 어느 한 가지 원인이 아닌 여러 요인, 크게는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의 복합적 결과라고 알려져있다.

증상
치료
* 출처 ; 의료행동과학/ 대한신경정신의학회, 신경정신의학 / 대한신경정신의학회
  • [입원치료]

    자타해의 우려가 있는 경우, 증상이 심해 자신을
    잘 돌보지 못하여 신체적 건강이 위협받을 때,
    생활하는 환경이 병의 경과에 나쁜 영향을 주기
    때문에 격리시킬 필요가 있을 때, 특수한 검사나
    치료가 필요할 때 입원이 필요하다.

  • [약물치료]

    급성기에는 약물치료가 가장 중요하고 가장 효과적인
    치료법이다. 치료해야 할 표적증상을 정한 후 사용할
    약물을 선택하게 되며 치료효과는 약을 복용한 후
    3~10일이 지나면 나타나기 시작하지만, 약물의
    효과유무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최소 3~6주 동안
    충분히 복용해야만 한다.

  • [심리사회적 치료]

    정신치료, 인지치료, 집단치료, 가족치료,
    사회기술훈련등.

  • [유지치료]

    급성기 치료 후에도 재발을 예방하고 사회적 기능을
    증진시키기 위해 유지치료가 필요하다. 기간은
    1~2년에서 재발경력이 있는 사람은 5년 이상
    약물치료를 지속해야 한다.

조울증

원인

유전적 요인, 신경전달물질의 이상, 심리사회적요인등이 있다.

증상
치료
* 출처 ; 의료행동과학/ 대한신경정신의학회, 신경정신의학 / 대한신경정신의학회
  • [입원치료]

    필요시 입원치료를 고려해볼 수 있다.

  • [약물치료]

    증상조절을 위해서 약물치료가 사용될 수 있다.
    급성기에는 약물치료가 가장 중요하고 가장 효과적인
    치료법이다. 치료해야 할 표적증상을 정한 후 사용할
    약물을 선택하게 되며 치료효과는 약을 복용한 후
    3~10일이 지나면 나타나기 시작하지만, 약물의
    효과유무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최소 3~6주 동안
    충분히 복용해야만 한다.

  • [정신치료]

    증상을 악화시키거나 재발하게 하는 심리사회적
    스트레스 인자가 개인의 삶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,
    그리고 질병자체로 초래된 정신적인 부담,
    대인관계 또는 사회적인 결과 등을 다룬다.

스트레스

증상
스트레스 관리
* 출처 ; 의료행동과학/ 대한신경정신의학회, 신경정신의학 / 대한신경정신의학회
  • [인지치료]

    불필요한 스트레스와 문제를 일으키는 생각, 믿음,
    태도를 건설적으로 재구성 하도록 도와주는
    기법이다.

  • [이완치료]

    스트레스 반응과 양립할 수 없는 이완반응을
    인위적으로 유도함으로써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
    조절하고자 하는 것이다. 이완반응을 일으키는
    기술로는 호흡기법, 명상기법, 근육이완기법,
    심상기법 등이 있다.

  • [운동]

    특히 유산소 운동(달리기, 에어로빅등)은 신체 및
    심리상태에 긍정적 효과를 일으킨다.

  • [대처 문제해결훈련]

    스트레스 상황에 대처하는데 많은 기술이
    사용될 수 있다. 효과적인 대처방법으로는 일단
    멈추어서, 심호흡을 하고, 자신의 자동적이고,
    부정적인 사고, 믿음 및 태도를 곰곰이 생각하여,
    그 상황에 가장 적절한 대처방법을 선택하는 것이다.

  • [기타전략]

    효율적인 시간관리, 효과적인 의사소통,
    유머사용 등

  • [약물학적 치료]

    스트레스는 진단이 아니라 질병의 발생 또는
    악화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이다. 그러므로
    약물치료는 다른 치료들에 대한 보조로서 사용된다.


Warning: Unknown: write failed: Disk quota exceeded (122) in Unknown on line 0

Warning: Unknown: Failed to write session data (files). Please verify that the current setting of session.save_path is correct (/home/hosting_users/ehdus_teaload/www/data/session) in Unknown on line 0